점점 늘어나고 있는 여성들의 탈모
여성탈모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갈수록 급증하고 있는 20~30세대의 젊은 여성들의 탈모
탈모 고민에서 벗어나 자신감을 되찾고 싶다면
탈모의 원인을 정확히 알아야합니다.
젊은 층 여성들에게도 점점 늘어나고 있는 탈모는 불청객일 수 밖에 없습니다.
또한 요즘같이 쌀쌀한 계절에는 탈모가 늘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루트모발이식에서 여성탈모의 원인을 알려드립니다.
여성의 탈모 진행
여성들은 탈모를 유발시키는 남성호르몬인 안드로겐보다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을 훨씬 더 많이 갖고 있어
남성들처럼 완전한 대머리가 되지는 않습니다.
단지 머리카락이 다량으로 빠지게 되어 숱 자체가 적어질 뿐입니다.
즉 남성형 대머리는 굵은 머리털이 잔털로 연모화하여 끝내는 이 연모마저 빠지게 되는데,
여성의 경우에는 굵은 머리털이 연모화의 상태에서 진행을 멈추는 것이 특징입니다.
[ 여성탈모의 특징 ]
탈모의 양상 또한 남성과 다르게 나타납니다.
남성의 탈모는 정수리 부근이나 관자놀이 부근에서 나타나나
여성은 정수리 부근에서 탈모가 나타나는데,
이때 앞머리가 둥글게 연모화하면서 머리밑이 드러나기는 하지만
헤어라인의 경계를 벗어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최근 심하게 진행된 여성 환자들은 남성에서와 같이
M자 형의 탈모가 동반되어 나타나기도 합니다.
또 탈모는 전반에 걸쳐 이루어지는 탓에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탈모시 남성, 여성 모두 모발이 가늘어진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 남성형 탈모증과 비슷하게 유전하며 나이가 들수록 점진적인 탈모가 일어나나
남자와는 달리 일정한 형태가 없이 머리 전반적으로 탈모가 일어납니다.
일반적으로 25세에서 30세부터 나타나면서 가르마 부위가 엷어지는 것을 느끼면서 알게 됩니다.
성인여성에서의 탈모의 50%가 이러한 탈모이나 불행하게도 확실한 치료법은 없으며
탈모가 영구적이며 유전소인을 보입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Minoxidil이 효과가 있는 보고도 있고,
빠진 형태가 앞부위에 집중되어 있거나 미용상 문제를 초래한다면
자가 모낭군 이식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대머리 유전 인자는 남성에게만 나타나고
여성의 경우에는 `보인자`로만 가지고 있어 겉으로 드러나는 일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남성의 탈모는 가족력에 의해 유전되거나 남성 호르몬인 안드로겐의 과잉 분비로 인해 나타납니다.
여성 탈모의 경우에는 탈모 증세가 심한 여자 친척을 두었거나
어머니가 탈모 현상을 보이는 경우 등 유전적 요인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으나
그보다는 대개 환경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성 안드로겐 탈모증
남성 호르몬(안드로겐)의 영향으로 여성에게 나타나는 탈모증을 여성의 안드로겐 탈모증이라고 합니다.
남성 호르몬에 의한 탈모증이지만 탈모의 양상은 남성과 다르게 나타납니다.
보통 남성의 탈모는 정수리 부근이나 관자놀이 부근에서 나타나지만
여성은 정수리 부근에서 탈모가 나타나지만
여성은 일정한 형태가 없이 머리 전반적으로 탈모가 일어납니다.
탈모가 일어나는 부위의 털 모양도
남성은 굵은 머리털이 잔털로 연모화하여 끝내는 이 연모마저 빠지게 되는데,
여성의 경우에는 굵은 머리털이 연모화된 상태에서 진행을 멈추는 것이 특징입니다.
남자처럼 이마가 벗겨지며 번들거리는 완전한 대머리로 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게 나타납니다.
원인은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남성 호르몬인 안드로겐의 기능을 억제해야 하는데
체내 호르몬의 균형이 깨져 안드로겐이 과다해졌을 때,
피임약의 남용과 심한 다이어트로 인해 남성 호르몬인 안드로겐의 분비가 활성화 되었을 때 나타나기 쉽고
사회 생활로 인한 각종 스트레스, 남성 호르몬 작용이 있는 약물 복용도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안드로겐성 탈모를 보이는 여성중에는 두발의 탈모증 이외에도
신체의 다모증, 남성화 증상 및 기타 내분비기관 이상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치료는 안드로겐 영향을 직접 또는 간접으로 억제하는 항안드로겐성 약물을 사용하거나,
복용하고 있는 약물을 체크해서 남성 호르몬 성격의 피임제를 복용하고 있었다면
다른 피임제로 바꾸어 주는 등 남성호르몬을 피해야 합니다.
그 외에 갑상선 기능 결핍, 빈혈, 전신쇠약 등이 발견되면 이들 질환을 우선해서 치료해야 합니다.
그래도 회복되지 않는다면 솜털 유무 및 탈모의 정도에 따라 치료 방법이 결정되며
드물지만 진행이 많이 되어 솜털마저 거의 없게 되면
모발이식수술도 하나의 방법이 되겠습니다.
출산 후 탈모
임신한 경우에는 호르몬 변화로 인해 털의 생성을 보여주는 모주기에 변동이 옵니다.
아이를 임신하면 여성의 몸에 있는 털은 성장기가 지연되면서
퇴행기와 휴지기를 지나 빠지는 털도 줄어들게 됩니다.
즉 정상적인 경우라면 하루에 빠지는 모발이 40~80개 정도가 되어야 하는데
그보다 훨씬 적은 양이 빠지는 것입니다.
대신 아이를 출산하면 이렇게 성장기가 지연되었던 모발들이
모두 한꺼번에 퇴행기와 휴지기로 몰리면서
출산 후 2-4개월 동안 평소보다 2배 이상의 모발이 빠지게 됩니다.
이런 현상은 약 6개월 정도가 지나야 정상으로 돌아오는데,
이것은 그동안 성장기가 지연되었던 모발들이 전부 빠져나가야 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산후 조리를 잘못하거나 출산 후에 계속되는 육아와 업무 등의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 경우에는
정상으로 되돌아오는데 시간이 더 걸리거나 또는 임신 전처럼 되돌아오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루트모발이식FAQ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루트모발이식 나이와 성별을 가리지 않는 탈모 원인은 무엇일까요? (0) | 2013.09.25 |
---|---|
루트모발이식의 모발이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무모증 궁금증을 해결해 드립니다. (0) | 2013.09.23 |
루트모발이식에 탈모고민 스트레스 해결! MAX4000모 290 (0) | 2013.09.16 |
모발이식 경험이 많은 의료진이 있는 루트모발이식에서 모발이식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0) | 2013.09.11 |
루트모발이식 화상이나 수술로 인해 두피에 생긴흉터에 모발이식 가능한가요 (0) | 2013.08.30 |